[그래픽뉴스] 봄의 불청객 '황사'<br /><br />10년 만에 중국을 덮친 최악의 황사.<br /><br />한반도로 유입된 양은 예상보다 적었지만, 서울을 비롯한 서쪽 지방 일부에서는<br />어제에 이어 이틀째 옅은 황사가 관측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황사에 따른 위기경보, '관심-주의-경계-심각' 4단계로 내려집니다.<br /><br />황사로 인한 미세먼지가 150㎍/㎥를 넘는 '매우 나쁨'으로 예보되면 '관심' 단계가 발령되고요.<br /><br />미세먼지 농도가 800㎍/㎥를 넘어 2시간 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'경계' 단계 이상이 되면 기상청은 '황사특보'를 발령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환경부는 그제 오후, 전국 11개 시·도에 황사 위기경보 '관심' 단계를 발령했습니다.<br /><br />황사 유입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던 어제 낮 12시 기준 농도 최곳값으로 수도권의 미세먼지는 200㎍/㎥ 안팎까지 올라갔고 강원, 대구, 전남 등은 300㎍/㎥를 훌쩍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다행히 최악의 상황은 피했는데요.<br /><br />바람이 강하게 불면서 모래 먼지 대부분이 1km 이상 높은 상공으로 지나갔고 일부만 지상으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기상청은 이번 황사가 중국 네이멍구와 중국 북부와 몽골 남부에 걸쳐 있는 고비사막 부근에서 발원했다고 밝히고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중국 기상 당국은 황사가 몽골에서 발생해 중국으로 날아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오리젠(趙立堅)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'중국발 황사'라는 한국 언론의 표현에 "중국은 단지 거쳐 가는 곳일 뿐"이라면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은 그동안 봄철 황사가 기승을 부릴 때면 그 발원지를 놓고 민감한 반응을 보이곤 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이번엔 피해가 적었지만, 황사가 주로 3월에서 5월 사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0년간 3월에서 5월 사이 서울에서 황사가 발생한 날은 4.6일. 평년보다는 줄었지만, 올해는 발원지인 몽골과 중국 북부가 건조한 상태여서 강력한 바람이 생기면 언제든 황사가 우리나라로 넘어올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황사가 발생하면 실외활동을 자제하고, 밖에 나갈 땐 KF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를 써야 합니다.<br /><br />외출 후에는 노출 부위를 깨끗하게 씻어야 하고, 집안에서는 창문과 출입문을 꼭 닫아야 합니다.<br /><br />또 황사가 지난 뒤엔 집안을 충분히 환기하고 청소해야 하겠죠.<br /><br />모레인 19일부터는 깨끗한 동풍이 분다고 하니 그땐 맑은 봄 공기를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